예제1
processpoint = 0
for repeat in range(1,263): # 반복문이 총 1에서 263까지라고 치고
processpoint = repeat/263 * 100 # processpoint는 repeat 수치를 값으로, 총 횟수 대비 현재 위치 비율이다.
print( "%0.f%%" % processpoint)
예제2 : 위에 내용은 그냥 숫자 퍼센트만 올린것이니, 실제 list기반으로 포문을 돌릴떄
별도로 카운트를 세 가며 퍼센티지를 구할 수 있도록 해 보자.
TheList=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호','희','후']
print (len(TheList))
count = 0
for i in TheList:
count += 1
print (i)
processpoint = count/len(TheList) * 100 # processpoint는 repeat 수치를 값으로, 총 횟수 대비 현재 위치 비율이다.
print( "%0.f%%" % processpoint)
TheList는 17개이다. len(TheList)로 리스트의 총 개수를 구한다. 모수인 것이다.
그리고 count 초기값 0을 설정하고, 포문이 진행될때 마다 count += 1로 1씩 올린다. 이게 진행율의 지수다.
포문자체가 숫자면 포문의 i값을 지수로 쓰면되지만 이건 리스트의 문자열에 포문을 거는 것으로
별도로 지수 카운트 없을 해주도록 한다.
len으로 구한 모수로 지수인 count를 나눈 후, 곱하기 100을 하면 진행율의 퍼센트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0.f%%" % processpoint 로 포매팅해주면 소수점이 없어진 진행율 표시가 가능하다.
'취미로 하는 프로그래밍 > 짭짤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util.copytree로 디렉토리 복사하기 (0) | 2018.06.16 |
---|---|
파이썬 간단한 개행처리 (0) | 2018.06.16 |
json 뷰어 (0) | 2017.12.31 |
파이썬_퍼센티지(%)의 표시와, 소수점 자리수 표현 (0) | 2017.12.30 |
파이썬_문장에 변수를 혼합하여 표현하기 (0) | 2017.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