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와 변수가 섞여 있는 경우의 표현

변수와 문장선언을 표현하고 싶을 땐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C언어 보다 편리한 것 같다.


1. 기본적인 방법

a = 10
b = 7
print("%d와 %d의 합은 %d에요." %(a, b, a+b))

>>10와 7의 합은 17에요.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포맷코드는 %s 문자열, %d 정수, %f 부동소수, %c 문자1개캐릭터, %% (진짜 퍼센트 문자))

str로 문장을 string처리 해주면 엑셀이나 csv에 텍스트로 저장함에 용이하다

str("%d와 %d의 합은 %d에요." %(a, b, a+b))



2. 문자열 변수만 있는 경우

a = "트랭크스"
b = "손오천"
c = "오천크스"

print("%s, %s의 퓨전은 %s입니다." % (a, b, c))

결과 >


손오천, 트랭크스의 퓨전은 오천크스입니다.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3. 또다른 방법 (format함수 사용)

git나 책을 보면 어떤 힙한 분들은 이런 방법을 쓰기도 한다. .format함수를 쓰는것인데

a = 10
b = 7
print ( "{0} 더하기 {1}은 {2}이에요".format(a,b,a+b))

>>10와 7의 합은 17에요.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print ( "{a} 더하기 {b}은 {c}이에요".format(a=10,b=7,c=a+b))




4. def함수를 써보기도 한다

def sum(a,b):
print("%d, %d의 곱하기는 %d입니다." % (a,b,(a*b)) )

sum(2,4)

>>

2, 4의 곱하기는 8입니다.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print로 하면 바로 메세지를 출력을 할 수는 있으나, 보통 결과값을 변수로 담을것이다.

계산기처럼,

return을 사용하여 받은 뒤 결과값을  print해보자

def sum(a,b):
print("%d, %d의 곱하기는 %d입니다." % (a,b,(a*b)) )
return a*b

print ( sum(2,3) )

>>

2, 3의 곱하기는 6입니다.

6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 Recent posts